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보건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58227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 Suicide and Its Prevention Policy in Nepal: A Review

http://www.riss.kr/link?id=A105558227
  • 저자[authors] ( Bimala Sharma ), 김하윤 ( Ha Yun Kim ), 김진리 ( Jin Ri Kim ), 남은우 ( Eun Woo Nam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대한보건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4No.3[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보건협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9-4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자살, 자살 시도, 예방 정책, 네팔, Suicide, Suicide Attempts, Prevention Policy, Nepal



초록[abstracts] 
[연구목적 : 네팔과 같은 개발도상국가에서도 자살문제는 상당한 국가적 재난과제이다. 이 연구는 네팔의 자살 시도 현황과 자살 방법 및 이유 등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및 자살 예방 정책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게재된 논문 및 보고서를 내용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네팔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8.6~24.9명으로 세계 표준화 자살률인 10만 명당 11.4명보다 두 배 이상 높다. 그러나 네팔은 자살에 관한 신뢰할 수 있는 국가 데이터가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자살 시도 및 자살 사례가 과소보고 되는 주요 이유는 자살 사례의 오분류, 법적 및 보건부문 간의 협력 부족, 낙인, 인식 부족, 법적 조항 및 미흡한 사망 등록 시스템 등 때문이다. 대부분의 연구는 자살 사례에 대한 부검 보고서 또는 고의적인 자해에 대한 기관 보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을 매달거나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망은 자살의 90% 이상을 차지했으며, 살충제 약물 중독이 자살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여성과 청소년, 특히 20세에서 35세 사이의 자살 사망 및 자살 시도 사례가 더 빈번하게 보고되었다. 정신 건강 정책은 전 국민을 위한 기본적인 정신 건강 서비스 접근성 보장, 정신 건강에 대한 필요한 인력 개발, 정신 건강 인식 제고를 위해 1997년에 채택되었다. 그러나 그 시행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정신건강법은 2006년에 기안 되었으나 아직 정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결론 : 네팔에서의 자살 사망 및 자살 시도 등의 문제는 많았지만 이에 비해 자살 예방에 대한 관심과 우선순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팔은 정신건강 정책과 정신건강 서비스의 일부 조항은 존재하지만 구체적인 자살 예방 대책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Objective : Suicide is a disaster of unknown magnitude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Nepal. This review aimed to explore suicide and suicide prevention policies in Nepal. Methods : Published articles and other reports were review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 The estimated suicide rate in Nepal is between 8.6 to 24.9 per 100,000 populations, which is more than double that of the global age-standardized suicide rate of 11.4 per 100,000. However, there is a severe shortage of reliable, representative, and nationwide data about the burden of suicide in Nepal. The major reasons for the underreporting of suicidal attempt and cases include the misclassification of cases, lack of coordination between the legal and health sectors, stigma, a lack of awareness, legal provisions, and poor death registration systems. Most of the studies were institution-based using either autopsy reports of suicide cases or cases of deliberate self-harm. Hanging and poisoning accounted for more than 90% of suicides; and organophosphorus poisoning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poisoning. Suicide and suicide attempts were more frequently reported in women and young people, especially among those between 20 and 35 years of age. A mental health policy was adopted in 1997 with the objective to ensure accessibility of basic mental health services for all; to develop required manpower; and to improve awareness about mental health. However, its implementation has not been effective. The Mental Health Act was drafted in 2006, but its endorsement by the government is also pending. Conclusions : The suicide burden in Nepal seems alarming but receives far less attention and priority. Although there is a mental health policy and some provis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no specific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are develop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3868 1 윤리학 생명권의 보장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 금지/권건보 2013  230
3867 12 낙태 낙태죄에 관한 재론-실정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임종희 2018  147
3866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 서비스 (DTC: Direct-to-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성영조 2015  91
3865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의 사이버 보안관제 서비스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이성훈 2018  67
3864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 인증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박희진, 이윤호 2018  79
3863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제도 시행 10년간의 성과 및 향후의 개선방안/현소혜 2018  101
3862 15 유전학 유전체 시대의 유전정보 보호와 공유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고찰/이원복 2018  109
3861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보호 및 이용을 위한 법제 연구/최종모 2018  108
3860 9 보건의료 2018년 지방선거 보건·복지 분야 정책제안/조준희 2018  53
3859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2018  64
3858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2018  54
3857 9 보건의료 개인의 복지태도가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 동의에 미치는 영향/김도영 2018  56
» 20 죽음과 죽어감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Bimala Sharma 2018  127
3855 9 보건의료 스마트건강증진서비스 효과성 분석 연구 : 서울시 사례 /오수경, 신창환 2018  100
3854 9 보건의료 보건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이무식 2018  57
3853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빈곤화에 미치는 영향: 재정적 대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우경숙 외 2018  68
3852 9 보건의료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조윤미 2018  51
3851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68
3850 9 보건의료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권중돈 2018  120
3849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국가자살예방전략에 따른 뉴욕주 자살예방정책 / 손해인 2018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