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275733 

법적 논의에 있어 인간의 존엄성 개념에 대한 연구 : 초기 배아에 대한 존엄성 논의를 바탕으로


  • 저자 : 차승현
  • 형태사항 : vi, 97 p.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현철
    참고문헌: p. 81-94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1. 2. 졸업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1



초록 ( Abstract )

  • 최근 의․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출생 전 형성 중 인간 생명체’가 법적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관계된 법적 논쟁에 있어서 각 논증의 정당화 논거로서 ‘인간의 존엄...
  • 최근 의․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출생 전 형성 중 인간 생명체’가 법적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관계된 법적 논쟁에 있어서 각 논증의 정당화 논거로서 ‘인간의 존엄성’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에서 비롯된 것이다.
    근대 이후 입헌 국가에서 ‘인간은 존엄하다’라는 가치는 보편화된 이념이다. 우리 헌법 10조도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헌법상 인간으로서 존엄성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근대 인간 존엄성은 평등한 인권의 근거가 된다. 따라서 존엄성의 주체로서 인간은 추상적 인격 개념에 근거한다. 추상적 인격 개념은 자의식, 그리고 자율성, 책임의 주체가 된다. 이것은 칸트의 인격 개념에 근거한 인간의 존엄성 개념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것이다.
    칸트의 인간 존엄성 개념은 이성적 능력(인격)- 자율성-목적 자체 성-존엄성으로 구성된다. 이 글의 논의 대상이 되는 ‘출생 전 형성 중 생명체’가 칸트 적 의미에서 인간 존엄성 개념의 구성요소를 만족하는가? 초기 배아의 인격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윤리적 논의로 흐르기 쉽다. 윤리적 논의는 신념에 바탕하고 있기 때문에 합의를 이루기 어렵다. 이것은 추상적 인격의 존엄성 개념이 가지는 한계가 된다.
    최근 헌법재판소는 ‘출생 전 형성 중 생명체’의 기본권 주체성을 부정한 바 있다. 본 판결이 초기 배아가 인간의 존엄성 주체가 되는지를 직접적으로 판단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초기 배아가 인간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에 따라 국가의 보호의무가 있다고 한다. 본 판결이 현실적으로 정당화 될 수 있는가?
    법은 합의를 요한다. 합의는 일치가 아니라 다수의 긍정이다. 따라서 합의는 언제나 유동적일 수 있다. 법에서 ‘인간의 존엄성’개념도 이와 같을 수 있다.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도 인간 사이의 관계 속에서 정해진다. 이때 인간의 존엄성 주체로서 인간이란 추상적인 인격 개념이 아니라 개별적․구체적 존재를 말한다.
    ‘출생 전 형성 중 생명체’에 대한 논증의 논거로서 ‘인간의 존엄성’이라는 가치가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인간의 존엄성이 무엇을 의미하는가?’가 아니라 ‘이것이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는가?’라는 상호승인이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
    그러나 상호승인도 기존의 이해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그 속에서 이루어진 합의는 정답일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의 존엄성’ 논의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관용이다. 유동적일 수 있는 상호승인의 결과에 대한 관용은 곧 책임이다. 그리고 기꺼이 책임을 지고자 하는 용기가 인간의 가치, 바로 인간의 존엄성을 의미한다.





    목차 ( Index )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목적 1
    • 제2절 논문 구성 3
    • 제2장 헌법상 인간의 존엄성 5
    • 제1절 도입 5
    • 제2절 칸트적 의미에서 인간의 존엄성 6
    • 1. 인격 개념 6
    • (1) 인격 개념의 역사적 고찰 6
    • (2) 칸트의 인격개념 8
    • 2. 칸트의 인간 존엄성 개념 11
    • (1) 도입 11
    • (2) 칸트의 인간 존엄성 개념 구성 요소 분석 12
    • 1) 자기목적성- 제 2 정언명령 (목적의 원리 principle of ends) 12
    • 2) 자기입법- 제 3 정언명령(자율성 원리 principle of autonomy) 14
    • 3) 존엄성 16
    • (3) 이성적 존재로서 인간-자율성-목적 자체성-존엄성 관계 16
    • 제3절 20세기 헌법상 인간의 존엄성 개념 18
    • 1. 칸트의 인간존엄성 개념 수용 18
    • (1) Gnter Drig(귄터 뒤리히)의 객체공식 18
    • (2)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례에 수용 20
    • (3) 20세기 헌법에 적용 21
    • 2. 우리 헌법 10조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개념 23
    • (1) 도입 23
    • (2)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개념 25
    • 1) 헌법상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근거 25
    • 2) 헌법상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의미 27
    • ① 우리 헌법상 인간상 27
    • ② 존엄과 가치 개념 28
    • (3)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법적 성격 29
    • 1) 최고 구성 원리성 29
    • 2) 구체적 권리성 30
    • 3) 검토 31
    • (4)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내용 31
    • (5)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제한 32
    • 제3장 헌법상 인간의 존엄성 개념의 한계 34
    • 제1절 문제 제기 34
    • 제2절 초기 배아와 헌법상 인간의 존엄성 개념의 한계 36
    • 1. 도입 36
    • 2. 초기배아와 인간 존엄성 개념 구성 요소 36
    • (1) 초기배아와 목적 자체성 논의 36
    • (2) 초기배아와 자율성 논의 38
    • 3. 소결 40
    • 제3절 인간의 시기와 초기 배아의 지위에 대한 윤리적 논의 42
    • 1. 도입 42
    • 2. 학설 대립 43
    • (1) 제 1 학설 43
    • 1) 학설 내용 43
    • 2) 학설 검토 45
    • (2) 제 2 학설 46
    • 1) 학설 내용 46
    • 2) 학설 검토 47
    • (3) 제 3견해 48
    • 1) 학설 내용 48
    • 2) 학설 검토 48
    • (4) 제 4견해 48
    • 1) 학설 내용 48
    • 2) 학설 검토 49
    • (5) 제 5견해 50
    • 1) 학설 내용 50
    • 2) 학설 검토 50
    • 3. 소결 51
    • 제4절 판례상 초기 배아의 지위 52
    • 1. 도입 52
    • 2.생명윤리법 제13조 등 위헌 확인구체적 쟁점 53
    • 3. 판례 검토 54
    • (1) 헌법상 생명권 54
    • 1) 생명권의 의의 54
    • 2) 헌법 상 생명권의 인정 및 인정 근거 55
    • (2) 초기 배아의 기본권 주체성 인정여부 56
    • (3) 생명권과 인간의 존엄성 관계 57
    • 4. 소결 59
    • 제4장 구체적 개인의 존엄으로서 인간의 존엄성 60
    • 제1절 도입 60
    • 1. 배경 60
    • 2. 추상적 인격의 존엄과 구체적 개인의 존엄 61
    • (1) 후견주의적 의미로 변질 61
    • (2) 특정한 인간상 보호 논리 62
    • 제2절 개념 62
    • 1. 의의 62
    • (1) 구체적 개인의 존엄으로서 인간의 존엄성 의미 62
    • (2) 구체적 개인의 의미 63
    • (3) 구체적 개인의 존엄성 의미 63
    • 2. 보호근거 64
    • (1) 상호주관적 관계 64
    • (2) 상호승인 65
    • 1) 상호승인의 개념 65
    • 2) 상호승인의 대상 65
    • (3)생명윤리법 제13조 등 위헌 확인판결 재검토 66
    • 1) 판례상 상호승인에 기반 한 초기 배아의 기본권 주체성 66
    • ① 판단의 기본 방향 67
    • ② 청구인의 주장 및 관계기관 의견 수렴 68
    • ③ 헌재 결정 71
    • 2) 민법 3조 등 위헌 소원판결과 비교 72
    • 3) 생명윤리법 제13조 등 위헌 확인판결 타당성 74
    • 제3절 구체적 개인의 존엄으로서 인간 존엄성 한계 75
    • 1. 문제제기 75
    • 2. 초기 배아과 상호 승인공동체 76
    • (1) 학설 76
    • 1) 제 1설 76
    • 2) 제 2설 77
    • (2) 검토 77
    • 3. 소결 78
    • 제5장 결론 79
    • 참고문헌 81
    • ABSTRACT 9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49
    248 7 의료사회학 의사-제약산업체 상호작용과 이해상충 관리 / 강명신, 고윤석 2012  275
    24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의 보호와 관리방안 / 최중명, 오인환, 오창모 2012  378
    246 2 생명윤리 공공 생명윤리와 전문성의 정치 : ‘생명윤리자문위원회’의 사례 / 김상현 2012  396
    24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윤리에 있어서 충분한 설명 후 동의(informed consent)원칙의 진보와 향후의 과제 / 이정현 2012  669
    244 20 죽음과 죽어감 병원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박인경, 박지용, 손명세, 이일학 2011  609
    243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4
    242 1 윤리학 21세기 생의학과 생명정치 / 과학기술학연구편집부 2014  272
    241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58
    240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2013  369
    239 2 생명윤리 생명(관리)권력과 생명정치 / 양운덕 2011  303
    238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59
    237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6
    236 10 성/젠더 생명정치, 벌거벗은 생명, 페미니스트 윤리 / 조주현 2008  363
    235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2014  1560
    2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 고혜진, 윤창호, 정승은, 김아솔, 김효민 2014  1712
    233 20 죽음과 죽어감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s of Death / 박형숙, 지영주, 김순희, 김윤지 2014  620
    232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2014  430
    231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2014  421
    230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 차유림 2014  468
    22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안미숙, 이금재 2014  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