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9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7040099 

대리임신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최근 일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Problems on the Gestational Agreement



초록 ( Abstract )

  • 상업적으로 자녀를 대리출산하는 경우인 소위 ‘대리모계약’의 경우에는 그 계약의 유효성 여부를 차치하더라도 대리임신에서 출산이 된 경우의 자의 모와 부를 결정하는 문제는 가족법...
  • 상업적으로 자녀를 대리출산하는 경우인 소위 ‘대리모계약’의 경우에는 그 계약의 유효성 여부를 차치하더라도 대리임신에서 출산이 된 경우의 자의 모와 부를 결정하는 문제는 가족법상 매우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우리 민법은 모자관계의 결정에 관해서 혼인 중의 자와 혼인외의 자의 경우를 묻지 않고 아무런 규정이 없이 출산한 모가 자의 모가 된다는 견해에 따르고 있고, 부자관계의 결정에 관해서는 모자관계의 결정과는 달리 복잡한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민법의 규정 내지는 원리가 자연적인 출산의 경우에 적합한 것이고, 인공적인 출산의 경우에는 제대로 기능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의 경우나, 보조생식술을 이용하여 대리모가 출산하는 경우에는 위의 원리에 의해 부나 모를 정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학계에서는 대리모계약이 공서양속에 위반되는 것이므로 무효라고 하고 있지만, 대리모계약에 관하여 직접 규정하고 있는 법률은 없다. 단지 생명과학기술에 관한 법률인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2004.1.29. 법률 제07150호, 2005.1.1. 시행)이 있지만, 그러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은 직접 대리모계약을 규율하는 것이 아니고, 대리모계약은 합의에 의해 체결되기만 하면 병원에서의 시술에 그다지 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이 법률로는 무효인 대리모계약의 규율이 어려운 실정이다.
    일찍이 대리모계약이 사회문제가 되어 많은 논란을 거친 서구에서는 이에 관한 법률적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허용·불허용이 다를 뿐 대리모계약에 관한 직접적인 법률적 규율을 함으로써 사회적 혼란을 막고, 자칫 인신매매가 될 수 있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며, 불임부부의 희망을 제한적으로나마 해결해 줄 수 있는 길을 열어 놓고 있다. 특히 비배우자간 인공수정으로 출생한 자녀의 모자관계나 부자관계를 결정하는 원칙을 정함으로써 민법이 예측하지 못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있다.
    그 결론에는 인간의 존엄성 확보와 인간의 욕망의 실현이라는 서로 대립하는 가치가 있다. 이 중 어느 것에 더 가치를 둘 것인가. 우리 민법은 어디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인가? 참으로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 글에서는 이 시점에서 우리 민법도 이에 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할 것임을 촉구하고자 한다. 이미 1990년대 초반에 대리모계약이나 인공적 임신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였는데도 아직 정부에서는 이렇다 할 案조차도 없는 실정인데, 일본에서의 논의에서 시사점을 찾아 적극 대처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36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들의 연명치료에 대한 이해도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지에 미치는 영향 / 최진경 2013  241
    36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 보호와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김종일 2010  576
    36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과 관련하여 / 손수지 2012  256
    36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 환자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권세희 2009  217
    36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법제화 방안 / 전수범 2010  238
    363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의료인의 형사책임 / 송근화 2011  207
    362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시 인식 / 구종모 2013  341
    36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결정 태도와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NR을 중심으로 / 장지영 2010  342
    36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연명치료중단행위에 관한 형법적 고찰 / 이백휴 2010  346
    359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35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43
    35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연구 : 환자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 최수정 2011  615
    3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77
    35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입법적 고찰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 박준태 2010  425
    35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이지애 2009  952
    353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하여 / 정재우 2009  247
    3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의료책임법상의 과제 / 이무송 2010  473
    35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주홍덕 1997  562
    350 2 생명윤리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 이필연 2013  341
    349 2 생명윤리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김성희 2010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