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현대유럽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184511 
여성에 대한 제도적, 구조적 폭력인 산과(産科) 의료폭력(obstetric violence)개념의 부상 

= The rise of the concept “obstetric violence” as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violence against women

  • 저자[authors] 윤지영 ( Ji Yeong Yu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현대유럽철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7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하이데거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6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규율권력, 산과 의료폭력, 생명정치, 여성폭력, 의료공간, Biopower, Discipline, Violence against women, Medical space, Obstetric violence

초록[abstracts] 
[의료 공간이 복원과 치료, 생명과 건강의 강화 공간만이 아닌, 제도적이며 구조적인 차원에서 여성을 향한 폭력의 수행 공간일 수 있다는 강력한 문제제기는 사회적, 문화적 터부 중 하나이기도 하다. 바로 이러한 터부를 깨뜨리며 부상한 것이 산과 의료폭력 개념이다. 본고는 프랑스 사회를 들썩이게 한 이 개념의 대중화 경로를 경유하여, 한국사회 최초로 이 개념을 학술적 차원에서 도입하고자 한다. 이것은 1992년 미국 학술지 Birth에서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2002년에야 전 세계적 파급력이 있는 The lancet라는 국제 학술지에서 본격적으로 심화되어 다루어졌다. 이것은 크게 언어적, 심리적, 물리적, 성적 폭력으로 범주화되며 여성의 자율성 약화와 행위력 제거 효과를 띠는 것으로 의료 공간의 효율적 생산성을 높이는 절차로 관행화되고 매뉴얼화된 측면이 매우 크다. 이러한 제도적 폭력은 여성의 피임의 권리와 임신과 출산, 분만 이후의 경험을 공포와 수치심의 경험으로 변질시키는 것으로 여성의 몸을 겨냥하는 권력기제들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것은 미시적 차원에서 순응적 여성 개인들을 양산하는 규율권력임과 동시에 거시적 차원에서 인구 재생산 기계라는 성 계급성을 여성들에게 강제하는 생명정치권력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산과 의료폭력 개념은 상호감응과 비판적 견제를 통한 의료진과 환자 간의 새로운 소통 공간이자 지식 공간, 치료공간을 기획해내는 교섭과 변형의 장이 될 것이다. 나아가 이것은 산과와 여성의학과에서 여성의 미래적 몸 공간이 재구성되는 새로운 지평의 도약대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troversial concept of obstetric violence that involves the emerging problem.This concerns the taboo consisting in the idealization of medical space as a cure space.Because this concept is a critical approach by which the difference of authority and of scientific knowledge between the medical staff and patient are the cause of hierarchical violence. This violence is gendered and structural violence.It is for first time discussed in 1992 in the American journal called Birth and is thoroughly and academically defined in 2002 in an internationally renowned magazine called The Lancet.Obstetric violence has four categories, including verbal and physical, psychological, sexual violence.The aim of this kind of violence is to destroy the capacity to action of women and to undermine their autonomies. In addition, obstetric violence is a disciplinary power that produces the docile body of a woman as a controllable individual and an biopower that reduces women to a reproductive machine of the population.This notion is the upheaval in the medical systeme, insofar as the medical space becomes the unprecedented site by which the new modality of communication and of formation of knowledge are wove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4308 12 낙태 여성을 힘들게 하는 건 낙태가 아니라, ‘낙태죄’다 / 윤정원, 홍정훈 2018  68
4307 9 보건의료 국산의약품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제도 연구-태국 / 윤근영 권진원 이의경 2018  278
4306 9 보건의료 소아환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서비스 연구 / 양준모 채옥삼 2018  56
4305 18 인체실험 초대받은 임상시험 / 송화선, 박범순 2018  113
4304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교육 / 송동수 2018  66
4303 22 동물복지 우리나라 동물실험절차에 대한 법제의 검토- 미국과의 비교를 통한 기준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 / 백경희, 강병우 2018  182
430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4301 12 낙태 68년 이후 프랑스 여성운동과 낙태 합법화 / 민유기 2018  236
4300 22 동물복지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칸트의 입장 / 김학택 2018  1730
4299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2018  63
4298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4297 9 보건의료 지능형 헬스케어 플랫폼 산업 및 국제 표준화 동향 / 김양중 2017  59
4296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에 대한 토론 / 김성한 2018  116
429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학적 연구와 관련한 국가·기관 위원회 구성의 문제점 및 시험자·의뢰자에 대한 실효적 형사 처벌 필요성 / 김성룡 2018  99
4294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데이터 샌드박스에 관한 연구 / 김배현, 권영일 2018  70
4293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6
4292 5 과학 기술 사회 초연결사회의 도래와 빅데이터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장완규 2018  162
4291 5 과학 기술 사회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최해옥 2017  138
4290 2 생명윤리 작업치료사의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 사공봉, 이하영, 전병진 2018  256
4289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박미라, 제남주 2018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