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013156 
헌법상 배아의 인간존엄성과 생명권에 관한 연구 = A Constitutional Study on Human Dignity and The Right to The Life of Embryo

                    

http://www.riss.kr/link?id=T12013156            

  • 저자

    김용범                                       

  • 형태사항

    ix, 98 p. ; 26cm

  • 일반주기

    전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송기춘
    참고문헌 : p.91-9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북대학교 대학원 : 법학(헌법및행정법) 2010. 2

  • 발행국

    전라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 초록 (Abstract)
    • Recently, Researches on human embryos are in the spotlight as a last chance to treat the patients of incurable diseases. As a result of the remarkable developments in biotechnology, it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whether an embryo should be afforded...
    • Recently, Researches on human embryos are in the spotlight as a last chance to treat the patients of incurable diseases. As a result of the remarkable developments in biotechnology, it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whether an embryo should be afforded to human dignity and the right to life.
      The problems about human embryo researches are argued in several fields. These problems are going to be solved by legal system, especially in the constitutional methods. And the issues are whether biotechnology impinges upon fundamental rights such as human dignity and the right to life. Finally, the main issues are related with following questions : whether human embryos can be regarded as human beings, if how what human embryos can be regarded, and how research on embryos could be protected by constitution.

  •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ⅶ
    • 제 1 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Ⅰ. 연구의 범위 5
    • Ⅱ. 연구의 방법 6
    • 제 2 장 배아의 의의과 지위에 관한 논의 7
    • 제1절 배아의 의의와 배아연구 7
    • Ⅰ. 배아의 의의 7
    • 1. 배아의 개념 및 종류 7
    • (1) 인공수정배아 8
    • (2) 체세포복제배아 9
    • 2. 배아의 발달단계 9
    • (1) 자연배아 및 인공수정배아 9
    • (2) 체세포복제배아 11
    • Ⅱ. 배아연구와 현황 11
    • 제2절 배아의 지위에 대한 논의 13
    • Ⅰ. 도덕적 지위 13
    • 1. 도덕적 지위에 관한 관점 13
    • 2. 도덕적 지위에 대한 검토 13
    • Ⅱ. 법적 지위 16
    • 1. 배아의 지위에 대한 견해 16
    • (1) 인간긍정설 16
    • (2) 인간부정설 17
    • (3) 절충설 18
    • (4) 검토 18
    • 2. 배아의 특수한 지위 19
    • (1) 서설 19
    • (2) 태아의 법적지위와의 비교-배아연구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19
    • (3) 배아의 특수한 헌법적 지위 - 배아의 기본권주체성의 인정여부 22
    • 제3장 인간배아의 보호근거에 대한 헌법적 접근 24
    • 제1절 인간 존엄성과 배아보호 24
    • Ⅰ. 인간의 존엄성의 의의와 법적 성격 24
    • 1. 인간의 존엄성의 의의 24
    • 2. 법적 성격 25
    • 3. 보호의 영역과 기준 27
    • Ⅱ. 인간의 존엄성의 보호범위의 확대 29
    • 1. 기존의 보호범위의 한계 29
    • 2. 단계적 보호의 가능성 29
    • Ⅲ. 유형별 배아의 존엄성 인정여부 31
    • 1. 자연배아 31
    • 2. 인공수정배아 및 잔여배아 32
    • 3. 체세포복제배아 34
    • Ⅳ. 검토 34
    • 제2절 생명권과 배아보호 35
    • Ⅰ. 생명권의 의의 35
    • 1. 헌법적 근거 36
    • 2. 생명권의 개념과 보호영역 36
    • 3. 법적 성격 37
    • Ⅱ. 배아의 생명권의 의미와 생명권 보호의 상대성 38
    • 1. 배아에서의 생명권의 의미 38
    • 2. 생명권 보호의 상대성 40
    • 3. 단계적 보호의 가능성 41
    • Ⅲ. 유형별 배아의 생명권 인정여부 41
    • 1. 자연배아 및 인공수정배아 41
    • 2. 잔여배아 43
    • 3. 체세포복제배아 43
    • Ⅳ. 검토 44
    • 제3절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와 배아보호 46
    • Ⅰ. 개념 및 헌법적 근거 46
    • 1. 개념 46
    • 2. 헌법적 근거 46
    • Ⅱ. 배아연구와 기본권보호의무 47
    • Ⅲ.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내용과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48
    • 제 4 장 인간배아의 보호에 대한 우리입법의 접근방식과 현행 우리 입법 51
    • 제1절 우리 입법의 접근 방식 51
    • Ⅰ. 우리 입법의 접근 가능한 방식의 탐색 51
    • 1. 사법적 대응 51
    • 2. 법률적 대응 52
    • 3. 행정적 대응 53
    • Ⅱ. 우리 입법의 접근 방식과 검토 54
    • 1. 우리 입법의 접근 방식 54
    • 2. 우리 입법의 접근 방식에 대한 검토 54
    • 제2절 현행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입법내용과 문제점 55
    • Ⅰ.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입법내용 55
    • 1.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입법과정 55
    • 2.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주요내용 57
    • Ⅱ.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59
    • 1. 법률의 목적과 관련된 문제점 59
    • 2. 법률의 적용범위와 관련된 문제점 59
    • 3. 배아의 기본권적 지위 및 국가의 생명보호의무에 관련된 문제점 60
    • 4. 국가생명윤리위원회와 관련된 문제점 61
    • 5. 인공수정배아의 생성 및 잔여배아의 연구목적 이용에 관련 문제 62
    • (1) 인공수정배아의 생성 62
    • (2) 잔여배아의 연구목적 이용 63
    • 6. 체세포복제배아의 생성 및 연구목적 이용에 관련된 문제점 63
    • (1) 핵이식기술에 의한 체세포복제배아 생성 63
    • (2) 하이브리드(Hybrid)의 절대금지 64
    • 제 5 장 배아보호에 관한 외국의 입법현황과 검토 66
    • Ⅰ. 주요 국제기구의 입법현황 67
    • 1. UN 67
    • 2. UNESCO 68
    • 3. WHO 70
    • Ⅱ. 주요국가의 입법현황과 검토 70
    • 1. 각국의 입법현황 71
    • (1) 미국 71
    • 1) 국가생명윤리자문위원회(NBAC)보고서 71
    • 2) 부시 보고서 72
    • 3) 국립보건원(NIH)가이드 라인 73
    • 4) 기타 74
    • (2) 영국 - 인간수정 및 발생에 관한 법 76
    • (3) 독일 77
    • 1) 배아보호법 77
    • 2) 줄기세포법 78
    • (4) 일본 79
    • 1) 인간복제기술 등의 규제에 관한 법률 79
    • 2) 특정배의 취급에 관한 지침 80
    • 3) 인간줄기세포 수립 및 사용에 대한 지침 81
    • 2. 각국 입법의 검토 82
    • (1) 미국 82
    • (2) 영국 83
    • (3) 독일 83
    • (4) 일본 84
    • 제 6 장 결론 - 우리 입법의 새로운 방향 85
    • Ⅰ. 외국 입법을 통한 시사점 85
    • Ⅱ. 국내 입법화를 위한 방안제시 86
    • 1. 배아자체에 대한 명확한 규정 86
    • 2. 배아연구의 허용범위와 한계 86
    • 3. 단일 법률의 변화 87
    • Ⅲ. 결론 89
    • < 참고문헌 > 91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49
    432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74
    432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기은희 2008  874
    432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이성수, 최혜란 2019  870
    4325 17 신경과학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슬비 2019  869
    4324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68
    4323 14 재생산 기술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윤혜진 2014  858
    432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2013  855
    432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남기곤 2011  854
    4320 14 재생산 기술 생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 양혜란 1995  852
    431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2014  852
    4318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송성수 2001  851
    431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현황과 문제점 / 문신용 2000  848
    431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2014  842
    431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지능정보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적 과제 / 이시직 2017  841
    431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2013  841
    431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37
    4312 15 유전학 식물연구에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다양한 적용 / 배상수 2016  832
    4311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현아 2013  832
    431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정보학 이해를 위한 영화 ‘The Island’ 활용 / 오진아 외 2015  829
    430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생명윤리학적 고찰 / 김은진 2005  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