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90684 
 AI시대의 정신과학적 통합심신치유 
= BMS Scientific Intefrative Body-Mind Therapeutic Healing at the AI Age

  • 저자[authors] 조효남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9No.4[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정신과학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3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국문 초록[abstracts] 
오늘날 4차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면서 모든 과학기술이 AI중심의 융복합과학기술, 유전자조작생명과학·생명의학, 나노바이오로봇, VR·AR가상현실,양자과학·양자의학 진단·치료기술 등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심리치료·심신치유뿐 아니라 인문사회학·문화예술을 포함한 모든 분야가 초고도 융복합과학기술로 인해 통합·통섭·융합하는 대통합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그래서 통합이란 말은 어느 분야에서나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온전하고 진정한 의미의 통합·통섭이나 통전적 통합정신은 어느 분야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심리치료,심신치유 쪽으로 오면, 진정한 통합·통섭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전통서양의학, 상담심리치료가 지배해 온 시대가 끝나고, 이제 오늘날과 같은 인문사회과학과 심리과학이 첨단과학기술과 고도로 융복합화되고 통합·통섭되면서 의학·심리치료·심신치유의 모든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앞으로 곧 환원주의적 뇌·인지과학이 지식생태계를 지배하는 시대가 끝나고 통합양자론·양자과학이 주도하는 심층과학으로 자리를 내주게 되면서 곧 양자뇌과학,양자인지과학,양자정신신경면역학(QPNI),양자통합생리학의 시대가 도래하게 될 것이다. 지금도 유물론자나 환원주의자가 아닌 전일적,몸맘얼 삼원일체적 뇌인지과학,인지심리학,통합적발달심리학,자아초월심리학을 온전하게 인식하는 전문가나 학자들은 진정한 심신통합의학, 통합심신치유학의 시대가 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그래서 이제는 몸과 마음을 따로 상담·치료하지않는 시대가 되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말하자면, 지금까지의 서양 전통 상담심리치료와는 달리 전통 자연의학·보완대체의학적 심신치유에서와 같이 이 두 분야를 따로 생각하지 않고 하나로 보아야 하고, 전통적 상담심리치료를 심신치유의 일부로 포함하지만, 단계적, 통합적으로 치료치유하는 통합상담심신치유의 시대가 이미 왔음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은 그 어느 시대보다도 위험사회,과로·피로사회,계층고착·갈등사회로 인해, 혼의 위축과 비정상화,물질·행위중독,분노·화 조절장애,이념·사고중독,반사회적 개인·집단 폭력·광기 등의 다양한 정신·심신장애 증후군으로 인해 극심한 스트레스와 심신의 다양한 병리장애로 고통을 받고 있는 현대인이 많다. 특히 우리 한국인의 경우 이러한 심신의 병리장애가 복합적이고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심신치유는 동양의 전통 전일의학과 현대 서양의 자연의학,뇌인지과학,발달심리과학,통합심리학,정신동역학,의식역학,신의학(에너지의학,양자파동의학)을 상보적으로 통전,통합하는 심신치유가 되어야한다.    이 강연에서는 먼저 모든 분야,모든 계통의 치유자들이 우선 동서고금의 철학·심리학·과학의 제반 인간학,의식심리학,심신치유를 관통하는 삼원일체적 몸맘영BMS의 공통수준(몸·기·정情·맘·얼·영)의 홀론 홀라키적 원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전통지혜와 현대의 제반 정신역동·발달심리학,나선밈동역학,뇌인지과학·뇌의학,심신통합의학,신과학·신의학,양자과학·양자의식역학,정신과학을 관통하는 통섭적 통합심신치유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오늘날 인간학,뇌인지과학,정신신경먼역학,통합생리학,심리학,심리치료,심신치유 분야의 수많은 학자,과학자,전문가들에게 인간의 몸과 마음에 대한 온전한 이해가 결여되어 생기는 그들의 제반 편향된 인식,관념,사고에서 나온 거칠거나 미묘한 이원론이나 일원론적 환원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를 위해, 몸과 마음에 대한 심층홀라키적 원리의 이해와 동서양의 전통지혜의 온전한 이해, 몸과 마음의 온생명과학적 다양한 의식철학적,의식심리학적,생명과학적 이해와 통합인간과학적 이해,의식역학·정신과학적이해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현대 통합심신치유이론에서는 우선 동서양의 몸과 마음 그리고 그 치유·수련에 대한 통전적·상보적 이해를 바탕으로 진정한 통전적 통합심신치유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그런 후에, 현대 신과학·신의학적 심신치유의 원리에 대해 개관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모든 통합심신치유이론과 모든 심신통합의학적 심신치유, 신의학적 심신치유를 통전적 통합으로 포괄하는 통합양자심신치유이론과 통합심신치유학의 실제모형으로서의 모듈형 유위무위 통합심신치유 프로그램모델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이 시대와 앞으로 올 AI 시대의 심신치료치유전문가들을 위해 AI시대의 시대적,사회적 특성과 심신치유의 방향과 위상, 그리고 AI시대의 통합심신치유학의 비전에 대해 언급하였다.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1. 현대 통합 심신치유  2. 현대 심층과학적 심신치유  3. 통합치유를 위한 몸맘얼영의 심층과학적 이해  4. 통합양자 심신치유  5. 유위무위 통합심신치유  6. AI시대의 통합심신치유 비전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49
4488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 혈액암 환자의 간호요구도 / 김은자 2018  246
4487 9 보건의료 병원감염관리 표준지침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 이수정 2017  404
448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사망과 임상 위험요인과의 관계: 지역 코호트 연구 / 강영미 외 2017  129
4485 12 낙태 저출산 '문제'의 담론적 구성과 정책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강은애 2019  409
4484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한 죽음의 인식변화 : 임종, 상장례 중심으로/ 정일련 2019  209
4483 10 성/젠더 여성주의 윤리학적 시각에서 본 싱글 여성의 생식권 문제 / 닝멍 2019  206
4482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534
4481 1 윤리학 독일의 출생신고 법제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11769
4480 13 인구 일본의 출산정책의 변화와 젠더적 함의 / 이지영 2019  194
4479 1 윤리학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세대를 위한 목회적 대응방안/ 송준용 2019  112
4478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337
4477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5
4476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2018  262
4475 10 성/젠더 젠더 통제의 변화와 여성 노동자의 생활경험 / 김상숙 2018  97
4474 10 성/젠더 영화를 통해 본 현대 일본 여성의 비혼화(非婚化) 현상 / 이윤주 2018  189
4473 14 재생산 기술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된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에서 법적 부모 결정 문제/ 김은애, 유수정 2018  734
447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윤리 가치관 / 김미화 2019  298
4471 23 연구윤리 임상심리 설문지 연구와 관련된 연구윤리 및 법규들 / 문성원 2019  268
4470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에서의 부수적 발견(IF) 관련 제도 개선방안 고찰/ 조혜란 2017  146
4469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인체자원 관리 시스템 구축 연구 / 황윤환 2016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