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 간호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9371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과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care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 저자[authors] 조미영

  • 발행사항 부산 :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55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숙남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 간호전공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암환자,가족,탄력성,돌봄 부담

  • 소장기관[Holding] 부산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221037)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광역시에 소재한 2개 종합병원의 혈액종양내과 외래를 찾은 암환자 가족과 내과병동에 입원한 암환자 가족 12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29일부터 12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15명을 최종자료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을 측정하는 도구는 한국형 돌봄 경험평가도구(Caregiver Reaction Assessment-Korean Version: CRA-K)로 이는 Given 등[71]이 신체적, 정신적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돌보는 돌봄 제공자의 돌봄 경험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척도로 Lee[5]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가족탄력성을 측정하는 도구는 Kim[15], Jung[26], Wang[27]의 연구에서 수정·보완한 가족탄력성 도구를 Park[28]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암환자 가족에 맞게 수정·보완하였으며, 간호학 교수 2인과 암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3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50.5세이었고, 40세 이하 35명(30.4%), 61세 이 상 33명(28.7%), 51∼60세 26명(22.6%) 순이었으며, 성별은 남자 39명 (33.9%), 여자 76명(66.1%)이었다. 종교는 있음 91명(79.1%), 없음 24명(20.9%)이었고, 환자와의 관계는 자녀 63명(54.8%), 배우자 44명(38.2%) 순이었다. 간병인수는 평균 2.37명으로 2명 36명(31.3%), 3명 34명(29.6%), 1명이 29명(25.2%) 순이었고, 의료비 부담자는 환자본인 41명(35.7%), 자녀 39명(33.9%), 배우자 32명(27.8%)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돌봄 부담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은 2.67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생활패턴의 변화 3.18점, 신체적 부담 2.72점, 경제적부담 2.59점, 가족협조부족 2.17점이었다. 

3. 대상자의 가족탄력성 정도는 5점 만점에 평점은 3.60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족응집력 3.79점, 가족강점 3.75점, 의사소통 3.74점, 대처전략 3.56점, 사회적지지 3.55점, 가족자원 3.26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 부담의 차이는 간병인수(F=6.2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의 차이는 간병인수(F=5.71, p=.001), 월 평균 의료비(F=3.09, p=.01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돌봄 부담, 가족탄력성간의 관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65,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암환자 가족의 가족탄력성은 돌봄 부담에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제 임상에서 암환자가족의 돌봄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가족탄력성의 사정과 중재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are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The participants were 120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including the family caregivers of outpatients with cancer who visited the hemato-oncology outpatient clinics of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and the family caregivers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cancer in internal medicine wards at the same hospitals. The participants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9 to December 10, 2018. Data from 115 participants were finally analyzed. 

In this study,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was measured using the Caregiver Reaction Assessment (CRA-K). This tool was originally developed by Given et al. [71] with the aim of assessing the care experience of care providers of patients with physical and mental illness and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Lee [5]. Family 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a tool for quantifying family resilience tha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studies by Kim [15], Jung [26] and Wang [27]; used in a study by Park [28];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for use in this study. Its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wo nursing professors and three nurses working in cancer ward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50.5 years, with participants 40 years or younger being the most common (n=35, 30.4%), followed by those aged 61 years or older (n=33, 28.7%), and those aged 51-60 years (n=26, 22.6%). By gender, there were 39 men (33.9%) and 76 women (66.1%). In terms of religion, 91 (79.1%) had a religion and 24(20.9%) had no religi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 with patient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63 (54.8%) were patients’ children, followed by patients’ spouses (n=44,38.2%). The average number of caregivers was 2.37, followed by 2 caregivers (n=36, 31.3%), 3 caregivers (n=34, 29.6%) and 1 caregiver (n=29, 25.2%). In terms of health expenditure, patients most frequently reported bearing these expenses (41, 35.7%), followed by children (n=39, 33.9%), and spouses (n=32, 27.8%).

2. The mean score for the level of caregiver burden was 2.67 out of 5 points. By subdomain, the scores for change in life pattern, physical burden, economic burden, and lack of family cooperation were 3.18, 2.72, 2.59, and 2.17 points, respectively.

3. The mean score for the level of family resilience was 3.60 out of 5 points. By subdomain, the scores for family cohesion, family strengths, communication, coping strategies, social support, and family resources were 3.79, 3.75, 3.74, 3.56,3.55, and 3.26 points, respectively.

4.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care burden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 burd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egivers (F=6.24 p=.001).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resili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egivers (F=5.71, p=.001) and average monthly medical expenses (F=3.09, p=.011).

6.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among the participants (r=-0.65,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family resilience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was related to care burden. Further, in order to alleviate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in clinical settings,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ir level of family resilience and consider related interventions for them.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의 정의 4
가. 돌봄 부담 4
나. 가족탄력성 4
Ⅱ. 문헌고찰 6
1.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 6
2. 가족탄력성 9
Ⅲ. 연구방법 14
1. 연구설계 14
2. 연구대상 14
3. 연구도구 14
가. 돌봄 부담 15
나. 가족탄력성 15
4. 자료수집 방법 및 기간 16
5. 자료 분석 방법 16
6. 윤리적 고려 17
7. 윤리적 제한점 17
Ⅳ. 연구 결과 18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8
2. 대상자의 돌봄 부담 정도 20
3. 대상자의 가족탄력성 정도 22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 부담의 차이 24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의 차이 25
6. 대상자의 돌봄 부담, 가족탄력성의 상관관계 27
Ⅴ. 논의 28
VI. 결론 및 제언 32
참고문헌 34
부 록 44
Abstract 5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49
4488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 혈액암 환자의 간호요구도 / 김은자 2018  246
4487 9 보건의료 병원감염관리 표준지침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 이수정 2017  404
448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사망과 임상 위험요인과의 관계: 지역 코호트 연구 / 강영미 외 2017  129
4485 12 낙태 저출산 '문제'의 담론적 구성과 정책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강은애 2019  409
4484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한 죽음의 인식변화 : 임종, 상장례 중심으로/ 정일련 2019  209
4483 10 성/젠더 여성주의 윤리학적 시각에서 본 싱글 여성의 생식권 문제 / 닝멍 2019  206
4482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534
4481 1 윤리학 독일의 출생신고 법제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11770
4480 13 인구 일본의 출산정책의 변화와 젠더적 함의 / 이지영 2019  194
4479 1 윤리학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세대를 위한 목회적 대응방안/ 송준용 2019  112
4478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337
4477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5
4476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2018  262
4475 10 성/젠더 젠더 통제의 변화와 여성 노동자의 생활경험 / 김상숙 2018  97
4474 10 성/젠더 영화를 통해 본 현대 일본 여성의 비혼화(非婚化) 현상 / 이윤주 2018  189
4473 14 재생산 기술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된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에서 법적 부모 결정 문제/ 김은애, 유수정 2018  734
447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윤리 가치관 / 김미화 2019  298
4471 23 연구윤리 임상심리 설문지 연구와 관련된 연구윤리 및 법규들 / 문성원 2019  268
4470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에서의 부수적 발견(IF) 관련 제도 개선방안 고찰/ 조혜란 2017  146
4469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인체자원 관리 시스템 구축 연구 / 황윤환 2016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