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21784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Single Mothers’ Experiences of Childbirth and Caring

  • 저자[authors] 최보희
  •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 75장 : 삽화, 도표 ; 27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박언주<br>참고문헌: p. 66-72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8.2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38.5 5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비혼모,출산,양육,질적 연구,사례 연구
  • 소장기관[Holding] 동아대학교 도서관 (221008)
  • UCI식별코드 I804:21008-200000004253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을 주관적인 삶의 맥락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우리 사회는 결혼제도를 전제로 한 출산만 정당성이 부여되며, 비혼 여성의 임신은 실수나 잘못, 사고로 여기고 비난해왔다. 비혼모는 인공임신중절이나 자녀를 입양 보내는 것이 자신의 문제에 대해 책임지는 것이었다. 하지만 비혼모에 대한 비난과 낙인 속에서도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는 것을 자신의 책임으로 받아들이고 홀로 자녀를 양육하는 비혼모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비혼모들에게 출산과 양육은 어떤 경험이었는지에 관심을 두면서, 이들의 경험을 깊이 이해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만 24세 이상의 비혼모들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성인인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을 주목하므로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임신 당시 연령이 20세 이상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비혼모는 어떠한 맥락에서 비혼모가 되었는가? 비혼모는 임신 이후 경험은 어떠한가? 비혼모에게 양육은 어떠한 경험인가?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혼모들은 자녀를 낳아 양육하기로 하는 것과 더불어 자녀의 생물학적 아버지와의 관계를 정리함으로써 비혼모의 삶을 살게 된다. 관계정리는 자녀의 생물학적 아버지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때로는 비혼모가 관계를 먼저 정리하고자 결정하기도 하였다. 둘째, 비혼모들은 임신함으로써 고립된 상황을 겪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혼모들이 고립된 상황에 놓이는 과정은 달랐지만, 정서적으로 지지를 얻거나 정보나 의견을 나누기 어려웠으며, 경제적‧물질적 어려움마저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고립상태로 심화되기도 하였다. 셋째, 비혼모의 양육 경험은 자녀와 함께 살아갈 보금자리를 마련하며, 일과 양육을 병행하고자 시도하는 것이다. 비혼모에게 양육을 대신해 줄 수 있는 자원은 거처 마련과 일‧양육 병행을 수월하게 해주었다. 대체 양육 자원이 부족할수록 비혼모는 당장 취업보다는 미래를 준비하거나 계획을 세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비혼모들의 개인 배경이나 특성에 따라 경험의 시기나 과정에 다소 차이가 나타났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비혼모로서 공통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은 관계 단절과 자원 부족으로 고립을 경험할 수 있으며, 대체양육 자원의 부족으로 경제활동을 미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ingle mothers’  experiences of childbirth and caring in the context of their  lives. In South Korea, only childbirth of married women gains  the legitimacy from the society. Unmarried women have been blamed for being pregnancy. Moreover, single mothers have been forced to have an abortion or adopt their children. Recently, despite the criticism and stigmatization of single mothe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e mothers who continue their pregnancy, give a birth and care their children. They consider themselves responsible for their children.  the criticism and stigmatization of single mothers, the number of single mothers is increasing. They consider themselves responsible for giving childbirth and caring child alone. This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ow did the research participants became single mothers? What are the single mothers’ experiences at the time of pregnancy? What are the main themes of single mothers’ experiences of childbirth and caring?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single mothers. To focus on the adult single mothers’experiences, this study included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more than 20 years old at the time pregnancy. The study participants gave birth to their children when they were more than 24 years old and have been caring their childr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became single mothers as they choose their children and rearrange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s biological fathers. There existed diverse way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rearranged the relationship. Sometimes the biological fathers rearranged the relationship as they did not show up and did not keep appointments. Other times women initiated the break up. Second, single mothers were exposed to isolated situations at the time of pregnancy. They experiences isolation in different ways, most of them felt difficult to obtain emotional support and to share childbirth or abortion information or opinion on their pregnancy situations, and were deeply involved in financial and material difficulties. Thirds the main issues that the single mothers faced were to arrange a place to live with their children and to balance work and care of their children. The more available resources the single mothers had, the easier they resolved the main issues. The resources, specifically, included someone who could provide the single mothers with child care. In case, the single mothers had little resources, they had hard time to balance work and care. They preferred preparing or planning for the future to immediate employment.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time and process of experiencing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ir social support and resources and also their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research participant, the research participant were experiencing in common. The case that the single mothers experienced isolation most tended not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network members but to have limited relationship only with children’s biological fathers at the time of pregnancy, lack of resources that could provided them with the place to live with their children, and exclusion from the economic activities due to lack of available resources to help balance work and care of their childre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4668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3
4667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적 정당성과 미국 각 주의 원격의료제도의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최용전 2019  1494
466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380
4665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13
4664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홍광, 이미숙 2019  1188
46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189
4662 15 유전학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장인호 2019  1034
4661 17 신경과학 청소년 폭력과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고찰 / 권해수, 윤일홍 2019  1021
4660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정신과학적 통합심신치유/ 조효남 2019  1174
4659 15 유전학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성, 정진수 2019  978
4658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2019  1087
4657 17 신경과학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슬비 2019  871
465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이성수, 최혜란 2019  873
465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2019  700
4654 8 환자 의사 관계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요인 / 문명자, 이선혜 2019  511
4653 9 보건의료 블록체인 의료의 법적 문제 / 손경한, 박도윤 2019  770
465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 교육에서 팀 의사소통과 전문직 간 협업 / 박귀화, 박경혜 2019  599
4651 5 과학 기술 사회 선택에 관여하는 인공지능이 사용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하대권 2019  562
4650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차이 연구 / 안세은 2019  579
4649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2019  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