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18394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 Nurses and Nursing Students’ Recognition of Good Instruction

  • 저자[authors] 박민아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ix, 133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신수진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2018.2
  • DDC[DDC] 600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8)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48549

초록[abstracts]
A gap between nurs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compared to the clinical field has been reported, despite effort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It is thus necessary to discuss improvement of nursing education curriculums.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good instruction by nursing students and nurses in clinical fields, so that nursing students’ opinions and clinical field demands can be reviewe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nursing education can be sough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niors in nursing schools and nurse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ho had graduated from nursing schools within the previous five years. The study design was an 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presented by Cresswell (2014),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qualitative data through interviews and then collecting and analyzing quantitative data.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1 to October 9, 2017 with the participation of 10 nurses and 9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Elo and Kyngäs’s (2008) content analysis method. The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qualitative results from November 9 to November 29, 2017. A survey was conducted with 75 nurses from one general hospital and two upper-class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another was conducted with 70 senior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Quantitative research: Recognition of good instruction was divided into teaching contents, teaching methods, teaching evaluation and teaching environment. 1)  For teaching contents, seven key concepts defined good instruction: “experience or practical examples,” “integrative thinking,” “appropriate for learner’s level,” “nursing fads and trends,” “theoretical insights,” “self-recovery conducive,” and “inter-occupation cooperation.” 2)  For teaching methods, five key concepts defined good instruction: “comprehension,” “motivational or Q & A scenario,” “interaction,” “media variety,” and “teachers’ consideration and passion.” 3)  For evaluation, three key concepts defined good instruction: “fairness and equity,” “feedback on homework and exam,” and “multiple evaluation methods.” 4)  For environment, two key concepts defined good instruction: “proper class size” and “imitative clinical settings.”    2. Qualitative research. Perceptions on good instr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good instruction were divided into teaching contents, teaching methods, teaching environment and teaching evaluation.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as applied. 1)  Both nursing students and nurses considered that accurate delivery of teaching content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Students showed that they considered knowledge reconstruction as the second important factor. Nurses lined up the factors as delivery-construction-conclusion-relation while students did it as delivery-construction- relation-conclusion. 2)  The top thre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for contents of good instruction according to students were “appropriate for learner’s level,” “practical field-example-based theory and practice integration,” and “reasonable context and detail.” For practicing nurses, these were “directly  related to critical judgment and job performance,” “nursing fads and trends,” and “practical field-example-based theory and practice integration.”  3)  In order of importance from high to low, students considered the following concepts regarding teaching methods as the most important: “specific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core contents simplified, important contents emphasized,” and “teacher-learner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Practicing nurses chose “materials used in clinical settings such as monitoring results and test results.” “core contents simplified, important contents emphasized,” and “simulation-based critical judgment.” 4)  Considering evaluation, students preferred “instruction with equity in evaluation for every single individual” followed by “instruction with feedback on homework and exam,” while nurses indicated “teaching-contents oriented” and “feedback on homework and exam” as their preferred evaluation methods. 5)  With regard to environment, students preferred “proper class size” and “imitated clinical setting,” while practicing nurses also preferred these, but in the reverse order. 6)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PA) drew six items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satisfaction:  Among these items, it was necessary to focus on six of them: teaching contents - “instruction with nursing fads and trends”; teaching methods - “teacher-learner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special presentation given by experienced practitioner,” and “instruction assures learners’ comprehension”; and evaluation - “accurate and specified evaluation standards” and “feedback on homework and exam.” This research combined deductive and inductive methods to acquire an integrative review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n good instruction. The factors of good instruction were verified, and the necessity for additional efforts related to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factors was noted.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 participated, making this research a meaningful report of nurse practitioners’ educational needs. Thus, this study can serve as a guide for nursing education facilities and educators in the development of a thorough education system with excellent instruction designed to achieve an ideal nursing education.

초록[abstracts] 
간호교육의 경쟁력을 높이고, 교육의 질적 수월성 향상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의 교육과 임상현장 실제 간의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는 간호학 수업의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교육의 직접적인 수혜자인 간호대학생과 임상현장에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학습자의 의견과 임상현장의 요구를 간호학 수업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간호교육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4학년인 간호대학생과 졸업한지 5년 이내인 임상경력 3년 이하의 간호사로, 연구방법은 면담을 통해 수집한 질적 자료 수집과 분석 단계가 먼저 이루어지고 이어서 양적 자료 수집과 분석 단계를 수행하는 Cresswell (2014)의 탐색적 순차 설계(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방법을 사용하였다. 질적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7년 9월 11일 부터 10월 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간호사 10명, 간호대학생 9명이 참여하였다.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Elo와 Kyngäs(2008)가 제시한 내용분석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양적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7년 11월 9일 부터 11월 2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서울 지역 1개의 종합병원, 2개의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75명과 서울지역 2개의 대학에서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적연구결과,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교육환경으로 분류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1)  교육내용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은 7개의 주제로 ‘경험이나 사례를 제시하는 수업’, ‘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수업’,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수업’, ‘최신의 경향이 반영된 수업’, ‘이론에 대해 심도 있게 설명해주는 수업’, ‘자기 자신을 스스로 치유하는데 도움이 되는 수업’, ‘보건의료인력 간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돕는 수업’이 도출되었다. 2) 교육방법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은 5개의 주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는 수업’, ‘동기부여나 질문을 활용하여 학습 호응도를 높이는 수업’,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 ‘다양한 수업매체가 활용되는 수업’, ‘교수자의 배려와 열정이 느껴지는 수업’이 도출되었다. 3) 교육평가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은 3개의 주제 ‘공정성, 형평성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수업’, ‘과제와 시험에 대해 피드백이 있는 수업’, ‘다양한 평가방법을 시행하는 수업’으로 도출되었다. 4) 교육환경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은 2개의 주제 ‘수업에 적합한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 ‘임상과 유사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으로 도출되었다. 2. 양적연구결과, 좋은 수업에 대한 교육관점과 좋은 수업에 대한 요건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환경, 교육평가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시행하였다. 1)  간호대학생과 간호사는 수업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생들이 기존의 지식을 재구성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관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전달-구성-결과-관계의 순서로 중요도와 만족도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간호대학생은 전달-구성-관계-결과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2)  교육내용에서 간호대학생은‘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이해하기 쉬운 내용이 담긴 수업’, ‘실제적인 현장사례를 바탕으로 이론과 임상을 연결하는 수업’, ‘전체적인 맥락 속에 세부내용을 이해 할 수 있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는 ‘임상판단과 직무수행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수업’, ‘최신의 간호경향이 반영된 수업’, ‘실제적인 현장사례를 바탕으로 이론과 임상을 연결하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육방법에서 간호대학생은‘수업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는 수업’, ‘핵심내용을 요약하여 중요한 부분에 대해 강조하여 설명해 주는 수업’, ‘학생들과 소통하며 의견을 반영하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의 경우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실제적인 자료(모니터 결과, 검사결과 등)가 활용되는 수업’, ‘핵심내용을 요약하여 중요한 부분에 대해 강조하여 설명해 주는 수업’,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기회가 주어지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육평가에서 간호대학생은‘평가자 마다 형평성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수업’, ‘과제와 시험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의 경우 ‘배운 수업내용을 반영하여 평가에 활용하는 수업’, ‘과제와 시험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교육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은‘수업에 적합한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 ‘임상과 유사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의 경우 ‘임상과 유사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수업에 적합한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통해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집중적으로 개선 노력이 필요한 항목으로 6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수업내용에서는 ‘최신의 간호경향이 반영된 수업’, 수업방법에서는 ‘학생들과 소통하며 의견을 반영한 수업’, ‘현장경험이 풍부한 임상 실무자 특강을 활용한 수업’,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이해하였는지 확인하는 수업’, 평가방법에서는 ‘평가기준과 항목이 수업목표에 맞게 제시된 수업’, ‘과제와 시험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좋은 수업의 인식을 확인하고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는 낮은 항목에 대해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 뿐만 아니라 임상현장에 있는 간호사를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간호교육에 대한 임상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를 통하여 수업을 제공하는 교육기관과 교수자에게 간호교육 수월성 향상을 위한 수업 설계 및 제도를 마련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 고찰 6
 A. 좋은 수업 6
 B. 간호교육에서 좋은 수업 12
Ⅲ. 연구 방법 15
 A. 연구 설계 15
 B. 연구 절차 15
 C. 연구대상자 16
 D. 연구도구 18
 E. 자료 수집 방법 19
 F. 자료 분석 방법 20
 G. 윤리적 고려 22
 H. 연구의 제한점 24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5
 A. 질적연구결과 25
 B. 양적연구결과 68
 C. 간호학적 의의 90
Ⅴ. 결론 및 제언 92
 A. 결론 92
 B. 제언 96
참고문헌 97
부    록 107
ABSTRACT 1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49
4668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59
4667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적 정당성과 미국 각 주의 원격의료제도의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최용전 2019  1491
466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378
4665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11
4664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홍광, 이미숙 2019  1186
46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187
4662 15 유전학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장인호 2019  1032
4661 17 신경과학 청소년 폭력과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고찰 / 권해수, 윤일홍 2019  1019
4660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정신과학적 통합심신치유/ 조효남 2019  1172
4659 15 유전학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성, 정진수 2019  975
4658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2019  1085
4657 17 신경과학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슬비 2019  869
465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이성수, 최혜란 2019  870
465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2019  697
4654 8 환자 의사 관계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요인 / 문명자, 이선혜 2019  509
4653 9 보건의료 블록체인 의료의 법적 문제 / 손경한, 박도윤 2019  768
465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 교육에서 팀 의사소통과 전문직 간 협업 / 박귀화, 박경혜 2019  597
4651 5 과학 기술 사회 선택에 관여하는 인공지능이 사용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하대권 2019  560
4650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차이 연구 / 안세은 2019  577
4649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2019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