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여성학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60204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The Practice of Women and Social Structure on the Reproductive Sphere in North Korea: The Reproduction-related Legislations and Women’s Experience

  • 저자[authors] 김석향,박민주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여성학논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3No.1[2016]
  • 발행처[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9-13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descriptor] 여성 경험,여성의 재생산,피임·임신중절,North Korean Women,Pregnancy and Childbirth,Reproduction of Women,Women’s Experience,Contraception and Abortion,임신·출산,북한여성

초록[abstracts] 
[This thesis focuses on pregnancy and childbirth of North Korean women to discuss the behavior of the North Korean residents, the social structure of the North Korean Society, and the dynamics between social structure and personal behavior. The authors reconstructs testimonies from North Korean defectors and analyzes the legislations related in the pregnancy and the childbirth in North Korea.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as regards the pregnancy and the childbirth of women, The laws of DPRK limits the subject of rights to ‘the Career Woman in Normal Pregnancy.’ Housewife, business women, and abnormal pregnant woman are excluded from exercising her right. It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legislations to prohibit the childbirth of handicapped baby and to secure labor power of women. Second,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show a common characteristic of patriarchy affecting women in North Korean society, but Each of them has a unique spectrum. Pregnancy-and-childbirth experiences of participants showed a different spectrum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ontext. Socio-economic status of individual is the main factor that determines the different experience. However, since economic crisis of the mid-90’s, Women in DPRK tried to control over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The tendency of refusal to having childre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ird, despite the influence of social structure, participants had attempted to negotiate, conform and resistance without losing their agency. The social structure and women sometimes strained relationship, sometimes build partnerships. In particular, the tension was mounting when woman tried to have an abortion or birth control.

이 연구는 북한의 임신·출산 관련 법제를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의 증언 자료를 토대로 여성경험을 치밀하게 묘사하였다. 재생산 영역에서 북한당국이 고안한 사회구조와 실질적 사회구조의 양상, 구조의 영향권 내에서의 여성의 실천을 드러내어 구조와 개인의 관계를 읽어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당국은 법제를 통해 여성의 권리를 보장한다고 주장했지만 ‘정상 태아’를 임신한 ‘직장여성’을 기본모델로 상정하여 주부, 장사하는 여성, ‘비정상 태아’ 임신 여성은 법제에서 소외를 당하고 피임‧임신중절의 권리는 아예 논외로 밀려나는 결과를 초래했다. 둘째, 연구 과정에 참여한 면담 대상자의 임신·출산 관련 경험은 개인별로 고유의 스펙트럼을 보였고 신분과 경제력은 경험의 차이와 차등을 직조해내는 주요 요인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당국을 대신하여 여성이 가구 생계를 책임지면서 출산의 기회비용이 증가했다. 또한 보장제도의 작동이 멈추면서 임신·출산의 사회구조는 비공식 의료시장으로 무게중심을 옮겨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별로 가동 가능한 자원을 동원하여 재생산을 조절하려는 경향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셋째, 면담 대상자 여성은 북한 사회구조 내에 위치해 있었지만 개인의 행위성(agency)을 잃지 않고 그 구조를 대상으로 순응과 협상, 저항을 시도해 왔던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피임‧인공중절 부문에서 북한당국과 개별 여성 사이에 긴장관계가 두드러졌다. 면담 대상자는 북한식 성별불평등을 일부 내면화하거나 어느 정도 순응하기도 하고 때로 적극적인 방식으로 현실에 대처하기도 했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1. 문제제기와 연구목표   2. 선행연구 검토   3. 논문의 구성과 연구방법 Ⅱ. 북한의 임신·출산 관련 법제 현황 분석   1. 관련 법제  2. 법제 내용 분석 Ⅲ. 임신·출산을 둘러싼 법제와 현실의 이중구조   1. 일상과 거리가 먼 의료 제도, “절로” 사는 여성   2. 법제적 “혜택”의 현실과 임신여성에게 다중 임무를 부여하는 사회구조   3. 출산을 둘러싼 사회구조의 변동과 개인의 선택 Ⅳ. 재생산 조절을 둘러싼 구조-개인 간의 힘겨루기   1. 여성의 행위성 발현과 북한당국의 전략 실패   2. 시장 공급자 중심의 유일한 피임 방법 “환”   3. 여성의 신체 위로 수렴‧교차하는 문제들: 사회적 차별, 가부장의 무능력, 시장의 논리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49
3928 9 보건의료 노인의료복지시설 영리 · 비영리성과 종사자의 업무환경 인식 및 소진과의 관계 / 김요섭 외 2017  109
3927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2017  1053
3926 9 보건의료 한국형 원격의료의 현황과 전망 / 조석균 2016  295
3925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46
3924 1 윤리학 한국 여성의 혼전임신에 관한 연구 / 김송희 2016  641
392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2014  543
3922 12 낙태 임신중단(낙태)에 관한 여성의 인식과 경험 조사 / 김동식 외 2017  453
»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96
3920 13 인구 최근의 임신 및 출산 실태와 정책적 함의 / 이삼식 2016  124
3919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 한정열 외 2015  116
3918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의 현황과 대책 / 김재연 2015  192
3917 10 성/젠더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김혜진 2018  1713
3916 10 성/젠더 칸트 성윤리의 구조와 재구성 / 김은희 2018  342
3915 10 성/젠더 종교개혁의 ‘개혁적’ 성윤리 탐색 - 루터와 칼뱅의 남녀관계성과 결혼 및 성적 결합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이창호 2017  134
3914 10 성/젠더 `자율성 중심의 성윤리`에서 `관계성에 입각한 행위자 중심의 성윤리`로: 성윤리 교육에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천명주 2016  113
3913 10 성/젠더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 / 김분선 2018  159
3912 10 성/젠더 자유주의 성윤리의 수정 / 김은희 2013  262
3911 15 유전학 생명윤리적 관점에서 본유전자 편집 특허의 제문제 / 진영진 2018  228
3910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2
3909 9 보건의료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주 외 2018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