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23343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munity care for end of life period patients : mainly on Pusan City


  • 저자[authors] 김수정(Kim Soo J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8No.1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노인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20-34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생애말기 커뮤니티 케어,생애말기 환자,죽음준비,호스피스 완화케어,Well-Dying,end of life period community care,end of life period patient,death preparation,hospice palliative care


초록[abstracts] 
[2018년 2월부터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면서 무의미한 연명치료가 환자나 가족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도 정착되어가고 있고, 국가가 정책적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지원하며, 관련 의료기관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생애말기는 ‘죽음에 임박한 특정 시점’이 아니라 임종기를 향해가는 시간적 과정의 연속적 개념으로 생애말기 생활기반 안정(Well-Bing)정책과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Well-Dying)정책이 동시에 지원되어야 한다. 국내 생애말기 지원정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재택의료 서비스 미진으로 자택에 머물면서 치료하기 어려운 실정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생애말기에 있는 환자들이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생애말기 커뮤니티 케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욕구 조사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호스피스 센터의 생애말기 환자의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확인하고 현재 받고 있는 서비스의 만족도와 삶의 질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생애말기 커뮤니티 케어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부산광역시 호스피스센터에서 재가 서비스를 받고 있는 생애말기에 놓여있는 환자 205명을 대상으로 조사원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대여명이 6개월 미만의 생애말기 환자의 경우 어떠한 서비스와 선택의 기준을 하는지와 죽음준비 혹은 교육에 대한 이해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서비스선택의 기준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β= -.321, p<.001), 서비스 선택의 기준이 삶의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비스 선택기준이 죽음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β= -.237, p<.01)를 보여주었다. 서비스 선택기준이 죽음준비에 미치는 영향(β= -.200, p<.01)과 삶의 질에 있어서 죽음준비의 매개효과(β= .514, p<.001)를 분석한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enforcement of life extension decision Act, it is now well understood that meaningless life extension treatment is not desirable for both patients and their family.    The government is, with its policy, supporting hospice palliative treatment and related medical institutions are increasing. End of life period should not be seen just as a certain point of time near death, but be seen as continuous period of time approaching toward death. In that period, governmental support is necessary especially for living condition improvement (well being) during end of life period and for ending life (well dying). According the analysis of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domestic end of life period patients,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at patient could not get treatment at home due to the lack of home care servic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people’s demand of establishing community end of life care system, which supports end of lif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of end of life period patients from Pusan area’s hospice center, and to assess satisfaction of the current service and the quality of life, and therefore to find out how to improve community care for end of life period patients. We have conducted a survey, filled in by the surveyor, on 205 end of life period patients who are provided with home care service from Pusan hospice center.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we could understand the criteria that patients, with life expectation less than 6 months, use to decide which service they would choose, and how well they are prepared and educated for end of life.    It is found that the patients’ criteria for choosing care services affected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ir criteria have negative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We have analyzed if their care service selecting criteria effect on the preparation for death, and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m.    Also we have analyzed the effect of service selecting criteria on death prepa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on life quality, and found there exists mediating effect. the introduction of a number of new social care services for older people, the need to provide home support service for them has been criticized.]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서론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49
4663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4662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기대 역할에 기반 한 윤리 딜레마 해결 모형 / 안유정 2002  1674
4661 9 보건의료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 전효숙 2006  1957
4660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27
4659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 권상조 2018  112
4658 1 윤리학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권미경 2018  559
4657 17 신경과학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요인 분석 / 조복순 2018  545
4656 1 윤리학 치매상담센터 종사자의 업무 수행도-필요도 분석 / 어수지 2018  222
4655 15 유전학 생명공학적 인공배아와 인체유래물의 민법상 지위 / 유지홍, 강태성 2013  1320
4654 15 유전학 바이오뱅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주현영 2012  899
4653 15 유전학 형사절차상 유전자정보의 획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정념 2009  1584
4652 15 유전학 형사법상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김낙현 2013  1137
4651 18 인체실험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 유영준 2012  641
4650 18 인체실험 웹기반의 실시간 e-IRB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동욱 2013  617
4649 23 연구윤리 연구윤리 및 규정 준수를 위한 익명화 시스템 개발과 타당성 검증 / 유용만 2014  611
464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시술에 적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보조부화술에 관한 연구 / 박성백 2014  777
464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받은 여성의 선택적 감수술에 대한 의사결정 경험 / 장혜영 2014  681
4646 14 재생산 기술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윤혜진 2014  858
4645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2
464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정신적 고통에 관한 연구 / 박춘선 2013  1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