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2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아동가정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22147 


위기가족 유형들의 생태체계 분석-위기상담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cological System of the Type of Family in Crisis-Focusd on Cases of Crisis Counseling


  • 저자 : 장정문
  • 형태사항 : 95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정민자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아동가정복지학과 2018.2
  • 발행국 : 울산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위기가족, 상담사례, 생태체계


국 문 초 록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가족 문제가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가족 역경을 지원하는 위기가족 지원사업이 건강가정 정책에서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가족의 상담사례 분석을 통하여, 위기가족의 유형에 따라 위기의 원인과 생태체계의 취약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어떻게 위기가족 체계의 개입과 지원을 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를 ‘위기상담사례에 나타난 위기가족 유형에 따른 생태체계는 어떠한가?’로 설정하고, 2015년 3월부터 2017년 8월까지 U시의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긴급위기가족지원사업의 대상자 총 211 사례 중 연구에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90 사례를 선별하여 6개 유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에 따라 15 사례씩을 배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의 경우 가족 내의 건강하지 못한 문제해결 방식과 의사소통 방식 등 미시체계의 취약성이 위기의 원인이며, 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으로 나나났다. 이에 전문적인 가족체계론적 상담과 건강한 자녀 양육 기술 및 가족원의 의사소통, 가족문제 해결을 향상할 수 있는 가족교육프로그램 등의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성폭력의 경우 가정의 자녀 돌봄 공백이나 부부친밀감 부재 등 미시체계의 취약성이 위기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사건 후 가해자에 대한 고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차적인 심리 피해, 치료과정에서 발생하는 외상의 재경험을 심화시킬 수 있는 외체계의 취약성은 성폭력을 경험하는 가정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는 체계로 작동할 수 있다. 이에 성폭력 외상전문 치료 상담가, 피해자 지원기관, 피해자들에 대한 의료 개입을 위한 전문적인 인적 자원과 개입 기관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인 측면에서 사회 구성원의 생애주기 발달에 맞는 전인적인 성교육 역시 성폭력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이라 하겠다. 셋째, 학교폭력의 경우 전 체계가 위기에 관여하며, 위기를 심화시킨다. 생활 전반에 걸친 부모의 건강한 모델링 부재, 취약한 가족 형태로 인한 돌봄의 공백 등 미시체계의 취약성은 위기의 원인이 되며, 건강하지 못한 미시체계들 간의 관계는 중간체계의 원활한 상호작용 역시 어렵게 만들어 위기의 원인이 됨과 동시에 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문제 해결에 대한 참여가 비자발적인 청소년의 특성은 외체계의 개입을 어렵게 하여 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학교 부적응, 학교 폭력과 관련된 청소년을 바라보는 사회의 부정적인 시각 역시 학교폭력의 위기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교폭력의 경우 미시체계부터 거시체계까지 전 체계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과 상담이 필수적이며, 전문적인 가족 상담과 교육, 지역 사회 내의 유관 기관과의 네트워킹과 자문 등의 다양한 수준의 대책 방안이 요구된다. 넷째, 자살의 경우 개인적인 우울 성향, 건강하지 못한 가족관계와 가족형태 등 취약한 미시체계가 위기의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살 가족원의 영향으로 인한 유가족의 모방 자살이나 수치감과 죄책감 등 부정적인 정서를 가지게 된다. 또한 가족원 스스로 외부와의 단절을 시도하기 때문에 위기 지원에 어려움이 있어 건강한 중간체계의 역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위기가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살은 개인뿐 아니라 가족 전체의 문제로 인식해야 하며 전문적인 가족 상담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제2의 자살 위험의 대처방안으로 사고 직후 조기 개입 서비스가 신속히 실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이혼의 경우 부부 각각의 건강하지 못한 미시체계의 영향이 가족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위기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직장과 이웃과의 관계, 자녀의 학교생활 역시 원만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혼 과정 중 자녀양육에 대한 교육, 면접교섭, 양육비 이행, 재산 분할 등 법률적 절차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와 교육 등 외체계의 취약성과 한부모가정⋅이혼 가정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시각 등 거시체계의 취약성은 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사회적인 수용과 편견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며, 미시체계의 건강성 회복을 위한 가족적인 접근과 거시체계, 외체계의 동시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즉 이혼에 대한 전문적인 가족관계 상담 및 법률지원을 위한 상담이 요청된다. 여섯째, 재난/기타의 경우 외부 재난사태는 특별한 체계의 취약성으로 위기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내부적인 요인 즉 가족 관계에서 발생하는 재난의 경우 자녀 양육에서 오는 심리적인 어려움 등이 미시체계 취약성으로 작동하여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재난 이후 경제적인 지원과 법률적인 지원, 치료의 개입 등 원활하지 못한 외체계의 경우 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사건 후 신속하며 실질적인 경제 지원, 응급 외상치료, 소송 등 법률적인 지원이 가능한 응급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의 예상하지 못한 위기상황은 개인적인 문제에 그치지 않고 가족원과 사회 전체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위기유형별로 취약성을 보이는 체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위기가정이 가지는 체계적 특성을 파악하여 위기유형별 가정에 적절한 개입과 지원이 필요하며, 위기가족에 대한 개입과 지원은 전 생태체계 내에서 유기적인 상호작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 주제어 : 위기가족, 상담사례, 생태체계


목차

목 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위기가족 4

1) 위기가족의 개념 4

2) 위기가족의 유형 4

3) 긴급위기가족 지원사업 5

2. 유형별 위기가족의 특성 6

1) 가정폭력 6

2) 성폭력 8

3) 학교폭력 10

4) 자살 11

5) 이혼 전⋅이혼 후 12

6) 재난/기타 13

3. 생태체계 이론 15

1) 개념 15

2) 위기가족 유형과 생태체계 16

Ⅲ. 연구방법 19

1. 연구 대상 19

1) 연구 대상자의 선정 19

2) 위기유형별 연구 대상자의 특성 19

(1) 가정폭력 경험 가정 20

(2) 성폭력 경험 가정 21

(3) 학교폭력 경험 가정 21

(4) 자살 가족원이 있는 가정 22

(5) 이혼 전⋅이혼 후 가정 23

(6) 재난/기타 경험 가정 24

2. 연구 절차 24

1) 연구 절차 24

2) 분석 방법 25

Ⅳ. 연구 결과 27

1. 가정폭력 경험 가정의 생태체계 27

2. 성폭력 경험 가정의 생태체계 34

3. 학교폭력 경험 가정의 생태체계 40

4. 자살 가족원이 있는 가정의 생태체계 46

5. 이혼 전⋅이혼 후 가정의 생태체계 52

6. 재난/기타 경험 가정의 생태체계 58

Ⅴ. 논의 및 결론 64

1. 논의 및 결론 64

2. 제언 68

ABSTRACT 69

참고문헌 72

부록 7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32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을 위한 ICT 융합 국내외 사례 연구/김호경, 신동희 2015  117
31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분야에서 빅데이터(의료이용자료)의 활용/김현정 2018  275
30 17 신경과학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에 따른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의 법적 고찰 / 이세경 2017  291
29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및 연구에서 이해 상충 관련 문제 / 신은희 외 2015  107
28 17 신경과학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 최은경 외 2018  156
27 17 신경과학 뇌공학의 윤리적 쟁점에 대한 고찰/김진국 2018  328
26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3
25 17 신경과학 정신질환을 가진 부모의 자녀들의 정신건강 상태 조사 연구 / 서화연 외 2017  985
24 17 신경과학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 박형빈 2017  110
23 17 신경과학 광유전자를 이용한 새로운 파킨슨병 동물모델의 개발 / 박은석 2017  249
22 17 신경과학 심리서비스(심리치료 및 심리상담 등)에 관한 법률적 근거의 재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 전소영 이수정 2017  218
21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0
20 17 신경과학 초연결 사회 속 피로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탐색 / 장민희 외 2017  121
» 17 신경과학 위기가족 유형들의 생태체계 분석-위기상담사례를 중심으로- /장정문 2018  1014
18 17 신경과학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2018  320
17 17 신경과학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요인 분석 / 조복순 2018  545
16 17 신경과학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의 의의와 한계 / 이상희 2017  165
15 17 신경과학 신경윤리의 성찰과 전망 / 최경석 2011  75
14 17 신경과학 뉴로마케팅(Neuromarketing)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추병완 2014  1416
13 17 신경과학 식물인간의 윤리적 지위 : 신경윤리적 검토 / 김효은 2010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