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506 건
총 2,506 건
"유명인사 정자 팝니다" 빗나간 생명윤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축구스타 데이비드 베컴, 할리우드 스타 라이언 고슬링. 이들의 공통점은 머리가 좋고 훤칠하고 잘생긴 유명인사다. 또 하나, 영국의 불임클리닉 ‘페임 대디(Fame Daddy)’ 조사 결과 18∼24세 젊은 여성들이 2세를 대신 낳아 줄 수 있는 대리부의 후...
2012.10.22 조회수 1789
국가줄기세포은행 개소
국가 차원에서 재생의료 연구 활성화를 위해 줄기세포를 관리하고 이를 민간연구자에게 공급하는 `국가줄기세포은행'이 운영된다. 16일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조명찬)은 줄기세포ㆍ재생의료 연구 활성화를 위한 국가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국가줄기세포은행을 17일 개소한다...
2012.10.22 조회수 1439
도쿄대, 'iPS 심근세포 사기' 모리구치 해고 "5건 수술 모두 거짓 판명"
일본 도쿄대가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세포)를 사람에 처음 이식했다는 거짓 주장으로 파문을 빚은 모리구치 히사시(48) 연구원을 해고했다. 요미우리 등 일본 현지 언론에 따르면 도쿄대는 19일 모리구치가 실시했다고 주장한 총 6건의 iPS 사람 이식 술 중 5건이 허위로 판명...
2012.10.22 조회수 2037
의약·화장품 개발에 실험동물 年 150만마리
지난해 의약품과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 등을 위해 쥐, 토끼, 개 등 실험동물이 150만 마리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언주 의원(민주통합당·경기 광명을)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출 받은 '2011년 실험동물 사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내...
2012.10.17 조회수 3949
알츠하이머병 일으키는 유전자 발견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새로운 유전자를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이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하는 신약이 개발되면 치매를 상당 부분 치료하거나 치매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얘기다.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의 고영호 박사팀(뇌질환과)은 15일 ...
2012.10.17 조회수 2966
올 노벨경제학상 로스 교수, 한국과 ‘장기이식’ 공동연구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하버드대 앨빈 로스 교수가 국내 의학자와 장기 교환이식 분야 공동연구를 하고 있어 화제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전문의인 김대중 교수가 로스 교수와 장기이식 매칭프로그램을 상용화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
2012.10.17 조회수 4672
대형병원 19곳, 임상시험비용 불법 청구
국내 유수의 대형병원들이 제약사와 함께 분담해야 하는 의약품 임상시험 비용을 불법으로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타낸 사실이 드러났다. 16일 이언주 민주통합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성모병원, 경북대병원 등 19개 대형병원은 2008...
2012.10.16 조회수 2256
로스·섀플리의 연구업적은 학생과 학교… 장기 기증자와 장기 필요한 환자… 가격 메커니즘으로 풀 ...
올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앨빈 E 로스(Roth·61) 하버드대 교수와 로이드 S 섀플리(Shapley·89)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명예교수가 공동 선정됐다고 스웨덴 왕립과학원이 15일 밝혔다. 왕립과학원은 "올해 경제학상은 가장 핵심적인 경제문제, 즉 다른 주체...
2012.10.16 조회수 2837
일본판 황우석 사태?…日 줄기세포 학계 '전전긍긍'
세계 최초로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만든 야마나카 신야 일본 교토대 교수가 올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가운데 iPS로 심장근육세포를 만들어 사람 몸에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는 주장을 놓고 일본과 미국의 줄기세포 학계가 진실게임을 벌이고 있다. 12일 일본 마이니치신문...
2012.10.15 조회수 2014
제대혈, 믿을 만한가?
보건복지부가 연말까지 제대혈은행들을 상대로 운영상태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하기로 했다. 9만여 명의 제대혈을 보관 중인 업체 히스토스템이 최근 경영난을 겪으면서 운영이 어려운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 데 따른 조치다. 복지부는 업체들이 제대로 제대혈을 보관하고...
2012.10.15 조회수 1837
존엄사 찬반
《 ‘삶과 죽음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동아일보에 웰다잉(Well-dying) 문제를 연재하는 칼럼니스트 최철주 씨에 따르면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를 하다 죽어 가는 사람들이 한 해 3만 명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주 1회 실리는 그의 칼럼은 매회 동아닷컴 조회 수가 적을 땐 수만...
2012.10.15 조회수 8423
논문취소는 연구 실수 탓?…67%가 표절·조작 때문
1977년~올해 5월까지 2047건 분석 40년새 취소 10배…단순실수 21%뿐 미국·독일·일본이 전체 70% 차지 조작 밝혀져도 꾸준히 인용되기도 미 예시바대 연구팀 조사 결과 독일 루트비히스하펜병원은 지난 8월 마취과장으로 재직하던 요아힘 볼트 전 기센대 교수의 연구윤리 위반 ...
2012.10.10 조회수 2230
"질병·비만 궁금"..유전자 검사 '남용'
유전자 검사가 질병·장수·비만·지능 등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남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병원·중소기관할 것 없이 법률을 위반하고, 일부 유전자검사기관은 정확도 검사를 위한 현장 실사를 거부하기도 했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성주(민주통합당) ...
2012.10.10 조회수 2095
[2012국감] 정자·난자 매매 여전히 성행‥ 대리모 알선은 4000~5000만원
인터넷 커뮤니티 중심으로 한 불법거래 여전 불법 정자·난자 매매와 대리모 알선 등이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여전히 성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강기윤 의원(새누리당)의 자체조사에 따르면, 불임부부 등 의뢰자와 정자·난자 공여자들은 브로...
2012.10.10 조회수 2214
'영국·일본' 줄기세포 연구자 노벨의학상 수상
메디컬투데이 원문 기사전송 2012-10-09 08:32 줄기세포 연구에 매진했던 일본과 영국 연구자가 노벨 의학상을 수상했다. 영국 캠브리지 Gurdon 연구소의 79세 John Gurdon 박사와 일본 쿄토대학의 50세 Shinya Yamanaka 박사는 성체 세포가 배아유사 줄기세포로 다시 변형될 ...
2012.10.09 조회수 1889
쥐 피부 추출 세포로 난자 배양… 새끼 출산 성공
한국일보 원문 기사전송 2012-10-05 21:06 최종수정 2012-10-06 23:25 일본 교토(京都)대 연구팀이 쥐의 유도만능줄기(iPS)세포를 이용해 만든 난자를 암컷 쥐에 주입해 새끼 쥐를 출산하는 데 성공했다. 사람에게 적용하면 불임 해소의 길을 열 수 있는 획기적인 연구라는 평...
2012.10.08 조회수 2474
불법 장기매매 증가...장기이식 대기기간도 길어져
불법으로 장기를 매매하다 적발돼 기소된 사람이 지난 4년 간 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적법한 장기 기증을 통해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장기이식자의 평균 대기기간은 2008년 330일에서 지난해 392.4일로 두 달 넘게 증가했다. 늘어나는 장기이식 수요에 비해 장기기...
2012.10.08 조회수 3261
서울의대 SCI논문 1위 질주…서남 0편, 건양 1.2편
기사입력 2012-09-28 07:10 안창욱 기자 (news@medicaltimes.com) 서울의대가 2012년 기준으로 SCI/SCOPUS급 국제학술지에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남의대, 건양의대는 SCI급 학술지에 단 한편의 연구논문도 발표하지 않거나 미미해 의대간 격차가...
2012.10.02 조회수 2029
식약청, ‘실험동물의 사용과 동물실험 절차에 관한 안내서’ 발간
종합 식품의약품안전청 (2012-09-28 09:29)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을 토대로 하여 동물실험의 신뢰도 제고와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자를 대상으로 ‘실험동물의 사용과 동물실험 절차에 관한 안내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이번...
2012.10.02 조회수 2060
식약청 "의약품 연구개발 단계부터 사전검토제 적용"
연구·개발 단계 의약품 허가 심사시 필요한 자료를 사전에 상담받는 사전검토제가 도입된다. 신제품 개발 기간이 단축되고 연구 불확실성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5일 식약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의약품등의 사전 검토에 관한 규정' 제정안을 행정예고...
2012.09.26 조회수 2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