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ID/PW 찾기
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도
위치 안내
CI소개
사이트맵
알림마당
공지사항
채용공고
정책원 앨범
일일언론동향
해외언론동향
언론보도자료
관련 기관 소식
갑질 피해 신고
정보공개
경영공시
사업실명제
자료실
관련 자료
생명윤리주제분류표
생명윤리 톡!톡!톡!
관련 기관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생명윤리정책전문도서관
발간자료
정책원 보고서
생명,윤리와 정책
생명윤리포럼
연명의료정보포털
뉴스레터
홈
공지
[ 2019-12-04 ]
제4회 국가생명윤리포럼 개최 (12/19(목), 신뢰할 수 있는 연구윤...
[ 2019-12-02 ]
제36회 콜로키움 개최 안내 -국내 연구윤리 현황과 대안
[ 2019-11-08 ]
[설문조사] 생식세포·배아의 안전한 보관·활용의 관리체계 구축을...
[ 2019-10-30 ]
[학술지 발간] 『생명, 윤리와 정책』 제3권 제2호 발간 안내
[ 2019-10-28 ]
2019 연명의료결정제도 청년 영상콘텐츠 공모전 수상작 선정결과 ...
H
>
알림마당
>
일일언론동향
통합검색
문서
댓글
엮인글
이미지/동영상
파일
문서
(577)
제목+내용
제목
내용
태그
유전질환을 가진 가족들은 CRISPR를 통한 배아편집의 금지를 언급하면서 빠르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함
CRISPR로 배아를 편집하는 것을 금지해 달라는 요청이 제기되자 유전성 질환에 노출된 가족들은 너무 빠르게 그러지는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함 Sharon Begley 니나 니자르(Neena Nizar)의 그녀의 아빠에 관한 어...
배아정책연구팀
|
2019-05-23 13:31
|
조회 수
179
독일 국가윤리위원회가 배아편집에 대해 전향적 입장을 표명함
독일 정부로부터 지명된 전문가위원들은 인간 생식선(부모로부터 물려받은 DNA)이 “불가침영역”이 아니라는데 만장일치로 동의했지만, 인간 배아와 정자 그리고 난자의 DNA를 유전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CRISPR과 같...
유전자정책연구팀
|
2019-05-20 10:53
|
조회 수
218
머지 않아 당신 사촌의 DNA가 살인을 해결할 것임
악명높은 골든 스테이트 살인마(Golden State Killer)로 믿어지는 남자의 체포 이후 범죄 수사 세계는 혁신적으로 바뀌어 왔음. 온라인 계보학 사이트에 제출된 DNA에 의지한 전통적이지 않은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수...
인체유래물정책연구팀_
|
2019-05-20 09:41
|
조회 수
245
중국의 생명윤리학자 4인, 정부당국에 과학연구 감시 강화를 요청함
수요일 네이처지에 실린 이 호소문은 11월 한 중국 과학자가 HIV에 면역이 되기 위해
유전자
가 변형된 세계 최초의 쌍둥이 아기를 낳았다고 발표한 윤리적인 스캔들을 언급으로 시작됨. 광둥성 선전에 있는 남부 과...
생명윤리안전정책팀
|
2019-05-17 09:54
|
조회 수
181
헌팅턴병에 걸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약이
유전자
기능장애를 일으킴
과학자들은 하나의 약물이 헌팅턴 병(Huntington 's disease)이라는 파괴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
를 침묵시킬 수 있는지 알기 위한 주요 연구를 준비하고 있음. 어떤 실험 약물이 마음을 빼앗는 질병을 일으키는 ...
인체유래물정책연구팀_
|
2019-05-16 18:25
|
조회 수
209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자
편집이 정당화될 수 있는가?
세계를 선도하는 의학 윤리학자 아서 캐플란(Arthur Caplan) 교수가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한 전세계적인 우려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권고안을 발표했음. PLoS Biology에 최근 게재된 이 논문은 작년에 세계...
배아정책연구팀
|
2019-05-10 11:09
|
조회 수
183
환자와 제공자에 대한 DTC
유전자
검사의 함의
23andMe와 같은 기업이 서비스하는 DTC
유전자
검사가 점차 보급됨에 따라 의사는 이러한 검사에 대해 환자와 이야기할 준비를 해야 함. 이러한 검사들이 인기를 얻고 있기는 하지만 그들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여전의 ...
유전자정책연구팀
|
2019-05-07 11:15
|
조회 수
94
노바티스, 아기의 죽음이
유전자
치료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함
노바티스(Novartis AG)는 실험적
유전자
치료인 졸젠스마(Zolgensma)를 평가하는 임상연구에서 6개월된 아기의 사망에 관하여 임상시험 연구자가 잠재적으로 치료와 관련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힘. 이 스위스의 ...
인체유래물정책연구팀_
|
2019-05-03 11:01
|
조회 수
125
대부분의 유방암 위험을 검출하기 위해 23andMe에게 의지하면 안 된다고 연구는 경고함
1천만 인구 이상이 23andMe에 등록함. 대부분은 처음에는 조상 데이터로 끌려 들어왔으나 나중에는 건강 위험 테스트 수행에 전향적으로 동의함. 2010년에 의사 파멜라 먼스터(Pamela Munster)는 그녀의 타액을 23an...
인체유래물정책연구팀_
|
2019-05-03 10:50
|
조회 수
210
[성명] NIH는
유전자
치료의 감독을 간소화하고 첨단기술을 고려하는 계획을 세움
NIH(National Institute of Health)와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는
유전자
치료에 대해 중복되는 관리·감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공동 발표를 했었습니다. (2018. 8.) 그 일환으로 대중의 의견을 수렴해 N...
유전자정책연구팀
|
2019-04-29 10:47
|
조회 수
150
첫 페이지
2
3
4
5
6
7
8
9
10
11
끝 페이지
알림마당
공지사항
채용공고
정책원 앨범
일일언론동향
해외언론동향
언론보도자료
관련 기관 소식
갑질 피해 신고
키워드별 (자료 통합검색)
녹화자료
대리모
호스피스
존엄사
난임
유전자
연명의료
장기이식
장기기증
연구윤리
인공지능
자기결정권
영화
의료
임상시험
안락사
줄기세포
연명치료
낙태
생명윤리
죽음
이메일무단수집거부
개인정보처리방침
영상정보처리기기 방침
관련 사이트
(†04522) 서울 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113 DB다동빌딩 5층 TEL : 02-737-8970 (기획운영팀)
Copyright (c)KONIBP All Right Reserved.
2sis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