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도
위치 안내
CI소개
사이트맵
알림마당
공지사항
채용공고
정책원 앨범
일일언론동향
해외언론동향
언론보도자료
관련 기관 소식
갑질 피해 신고
정보공개
경영공시
사업실명제
자료실
관련 자료
생명윤리주제분류표
생명윤리 톡!톡!톡!
관련 기관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생명윤리정책전문도서관
발간자료
정책원 보고서
생명,윤리와 정책
생명윤리포럼
연명의료정보포털
뉴스레터
홈
공지
[ 2021-01-22 ]
2021년 생명윤리 관련 학술대회 지원사업 공고(~3월 31일까지)
[ 2021-01-22 ]
2021년 생명윤리관련 정책연구과제 자유공모 공고(~3월 14일까지)
[ 2021-01-22 ]
『생명, 윤리와 정책』 학술지 제5권제1호 원고 모집(~3/21)
[ 2021-01-18 ]
[보건복지부 공고 제 2021-38호]2021년 제1차 사전연명의료의향서...
[ 2021-01-13 ]
【 2020년도 국가생명윤리정책원 고객만족도조사 관련 개인정보 ...
H
>
알림마당
>
공지사항
통합검색
문서
댓글
엮인글
이미지/동영상
파일
문서
(130)
제목+내용
제목
내용
태그
영국 보건부 장관, 코로나19에도 조력죽음 목적 스위스 여행이 허용된다고 밝힘
잉글랜드의 새로운 코로나19 제재규정은 ‘합당한 이유(reasonable excuse)’ 없이 집을 떠나는 것을 제한함. 하지만 Matt Hancock 보건부 장관은 해외에서 죽는데 도움을 받는 것이 합당한 이유에 해당한다고 의원들에...
연구부-배아정책연구팀
|
2020-11-10 16:56
|
조회 수
95
[오피니언] 세계뇌사프로젝트 뇌사판정기준 발표 – 죽음에 대한 겸손은 의사와 환자를 최선으로 도움
☀ WBDP(세계뇌사프로젝트; World Brain Death Project)는 뇌사가 무엇인지, 누군가가 죽었을 경우 어떻게 판정되어야 하는지 합의에 도달하기 위하여 전문가들이 1992년 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게재된 700건의 저널...
연구부-배아정책연구팀
|
2020-09-09 19:45
|
조회 수
184
어머니는 아픈 아들의 죽음을 허락하는 명령과 싸움
미국에서 말기인 아들의 양육권을 앨라배마주 정부에 빼앗긴 어머니가 아들의 연명조치를 유보하여 아들이 자연스럽게 죽을 수 있게 하려는 노력과 싸우고 있음. 앨라배마주 민사항소법원(Alabama Court of Civil A...
연구부-배아정책연구팀
|
2020-06-09 18:49
|
조회 수
110
[오피니언] 미국 감옥 내 사망자 증가 – 그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방법
코로나19 발병이 감옥 내 인구집단을 특히 힘들게 하고 있음. 하지만 미국 내 많은 수감자들이 철창 속에 갇혀 질병을 앓다 죽을 가능성은 사실 이미 존재했음. 옹호단체들은 코로나19의 결과로서 질병 전파, 의료...
연구부-배아정책연구팀
|
2020-06-04 18:25
|
조회 수
209
의사조력죽음과 장기기증의 도덕적으로 복잡한 결합(Morally Complex Mix)
Fred Gillis가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처음 의식했을 때 그는 빙판 위에서 하키용 스틱(hockey stick)을 잡고 있었음.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퍽(puck; 아이스하키에서 공처럼 치는 고무 원반)으로 슛을 넣을 수 없었...
연구부-배아정책연구팀
|
2020-05-06 19:15
|
조회 수
200
네덜란드 안락사기관, 2019년 조력죽음요청건수가 전년 대비 22% 증가
네덜란드에서 안락사시술을 수행하는 한 기관(Euthanasia Expertise Center)은 지난해 3122건의 요청을 받았는데, 2018년 대비 22% 늘어난 것이었다고 밝힘. 기관 책임자(Steven Pleiter) “근무하는 날은 매일 13명이...
생명윤리안전정책연구팀
|
2020-02-19 14:19
|
조회 수
191
더 부유한 환자들이 의사조력죽음제도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옴
캐나다 온타리오주(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 캐나다 인구의 39%)에서 의사조력죽음제도를 선택한 환자는 자연사한 환자들에 비하여 더 부유하고, 젊고, 기혼일 가능성이 높고, 장기요양시설을 이용할 가능성은 낮다는 ...
생명윤리안전정책연구팀
|
2020-02-18 17:55
|
조회 수
37
온타리오주에서 의사조력죽음이 장기기증으로 인한 혜택 증가를 증명함
의사조력죽음을 선택한 캐나다 온타리오주 주민들이 본인의 마지막 소망으로 장기 및 인체조직 기증을 선택하여 다른 사람의 목숨을 구하거나 삶을 개선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음. 2019년 1~11월 의사조력죽음을 선...
생명윤리안전정책연구팀
|
2020-01-23 17:16
|
조회 수
98
[에세이] 죽음에 대한 의학적 지원제도가 인권에 해당할까?
미국 킹스카운티의학회(Kings County Medical Society)는 뉴욕주 의원들과 오찬모임을 가짐. 초청된 손님 중 한 명은 뉴욕주의회 보건위원회 위원장(Richard Gottfried)으로 발의되어 있는 죽음에 대한 의학적 지원(M...
생명윤리안전정책연구팀
|
2019-12-16 18:47
|
조회 수
116
조력죽음: 말기환자는 고등법원 소송에서 패소
영국에서 조력죽음법률에 도전한 말기환자가 고등법원 소송에서 패소함. 러틀랜드지역 출신 Phil Newby(49세)는 2014년 운동신경질환(MND; motor neurone disease) 진단을 받아 걷거나 손과 팔을 사용할 수 없게 됨...
생명윤리안전정책연구팀
|
2019-12-04 11:15
|
조회 수
109
첫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계속 검색
알림마당
공지사항
채용공고
정책원 앨범
일일언론동향
해외언론동향
언론보도자료
관련 기관 소식
갑질 피해 신고
키워드별 (자료 통합검색)
생명윤리
장기이식
대리모
안락사
난임
연명의료
인공지능
낙태
녹화자료
임상시험
자기결정권
의료윤리
유전자검사
유전자
호스피스
장기기증
줄기세포
의료
코로나19
연구윤리
죽음
이메일무단수집거부
개인정보처리방침
영상정보처리기기 방침
관련 사이트
(†04522) 서울 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113 DB다동빌딩 5층 TEL : 02-737-8970 (기획운영팀)
Copyright (c)KONIBP All Right Reserved.
2sisstore